재테크 시작 가계부 선택시 고려사항
재테크 시작 가계부 선택시 고려사항
가계부는 전통적으로 부자가 되기 위한 출발점이 되는데요. 나의 자산과 그 흐름을 명확하게 알고 있고 계획적으로 생활을 해야 종자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목표한 종자돈을 가지고 투자가 시작이 되고 부자가 되는 추월차선을 타게 되는 것이죠. 오늘은 이 가계부를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지 알아보겠는데요. 가계부도 작심삼일이 될 때가 많습니다. 매년 계획적인 지출을 통해 종자돈을 만들겠다고 하지만 습관이 들이는 것은 많이 어려운데요.
사회 초년생이라면 꼭 알아둬야 할 가계부 선택요령
왜 계속 실패를 할까? 에 집중을 해보았는데요. 우선 작은 실천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오늘 쓴 내용만 간단하게 쓰면 나머지는 알아서 통계도 내주고 분석도 해주고 하는것이죠.
이런 기능은 네이버 가계부 부터 은행별 가계부, 뱅크셀러드 등 다양한 앱까지 있죠.
왜 안되는 걸까요? 계속 잊어버리고 쓰려고 하니 귀찮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저는 귀차니즘을 이겨내야지만 꾸준하게 성공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최소한의 것을 적는 것이죠. 글로 적어도 좋고 메모장에 적어도 좋고 핸드폰에 적어도 좋고 컴퓨터에 가계부 엑셀에 적어도 좋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아래와 같은 루틴으로 가계부를 작성합니다.
1. 지출한 것은 영수증 챙기고 그것을 바로 사진으로 찍는다 ( 영수증이 없이 현금으로 한 것은 물건 사진을 찍는다)
2. 자기전에 무조건 그것을 보고 노트북에 있는 가계부에 입력 한다 (하나라도 빠짐없이 써 놓는 것이 중요)
3. 사진 찍은 영수증은 네이버 플레이스에 등록해서 건다 50원을 번다
간단하죠. 3번은 해도 되고 안해도 됩니다^^
저의 경우 결산은 일요일에 딱 한번 합니다. 엑셀에 있는 통계를 보는 거죠. 무엇에 많이 썻는지 예산안에서 썼는지 불필요한 것은 없었는지 반성을 하고 다음주에 살 것을 미리 계획을 하죠.
이것도 작성해 놓으면 좋습니다. 그럼 가계부에 느낀점도 적는 것이 좋겠죠. 비고란에 저는 보통 적습니다.
없으면 안적어도 되구요.
최대한 나한테 맞게 해야 합니다.
다시 한번 정리 드리겠습니다.
- 쉽게 쓸 수 있는 가계부
- 내 마음대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가계부
- 자동 결산과 통계가 보기 좋게 나오는 가계부
그루잠 가계부라고 검색해 보시면 나오는데요.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 본인이 작성해야 하는 것은 지출만 써도 되기 때문에 간단합니다. 컴퓨터를 보통 쓰시는 분들에게는 좋다고 생각이 들구요. 당연히 무료라고 합니다.
핸드폰만 쓰신다면 네이버 가계부를 추천드리구요.